반응형
1. 소스트리 설치 사이트 이동
웹 브라우저 검색 창에 sourcetree download 등으로 검색하거나 다음 링크를 통해 설치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2. Registration
처음 제가 소스트리를 설치했을 때 화면과는 조금 달라졌습니다.
소스트리를 개발한 곳이 Atlassian 기업인데, 이쪽에서 밀고 있는 형상 관리 시스템인 Bitbucket 가입 권유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GitHub 시스템을 사용할 예정이므로, 하단의 Skip 버튼을 선택합니다.
3. Pick tools to download and install
다운로드 및 설치에 필요한 도구들을 선택하는 단계입니다.
자세히 보면 Advanced Options 토글(toggle) 란이 있는데, 활성화합니다.
Mercurial 체크 박스는 해제하고, 권장(recommended)하는 행 맨 끝 처리를 CRLF 로 설정하는 곳에 체크합니다.
4. Preferences
git 명령어에 대해 조금 일가견이 있는 분이라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전역적으로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XXX'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YY@gmail.com'
git 명령어를 몰라도 됩니다. 이곳은 일종의 내 코드를 형상 관리할 때 서명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이후 GitHub 사이트에서 이용할 username 과 이메일을 기입해줍니다.
5. SSH 키 불러오기
이 부분은 나중에 설정할 수 있으니 일단 '아니요' 를 선택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