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Sitemap)이란?
사이트맵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특정 웹 사이트의 페이지 목록입니다. 블로그를 예로 든다면, 다수의 글을 마치 도서 목록처럼 집약 및 집대성할 수 있고, 사이트맵 생성 프로그램 등을 통해 파일을 만들어 Google 같은 검색 포털 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등록하지 않은 것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때 블로그가 노출될 확률이 높겠죠? 어렵지 않으니 사이트맵을 등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트맵 파일 만들기
먼저 사이트맵 파일을 생성해야겠죠? 요새는 원하는 사이트 주소만 알려주면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솔루션이 많이 있습니다. 그중 Check-Domains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XML Sitemap Generator를 통해 파일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사이트맵 파일 설정
사이트맵 생성 전 몇 가지 설정을 해줍니다. 설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Site URL: 사이트 주소(https의 경우 s까지 포함할 것)
- Optional Sitemap Types: HTML sitemap
- Last Modification: Current time
- Frequency - Priority: Weekly Frequency
사이트맵 생성 중
제 블로그를 기준으로 포스팅이 약 500개일 때 약 30~40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주의할 점은 사이트맵 파일을 만드는 동안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면 작업이 취소됩니다.
만약 페이지 개수가 많은 사이트일 때 컴퓨터가 절전이 되어도 작업이 중단되니 절전 모드 설정 역시 필요합니다.
절전 모드 설정
절전 모드는 [윈도우 로고] - [설정] - [전원 및 절전] 탭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배터리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PC를 절전 상태로 전환을 안 함으로 설정
- 전원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PC를 절전 상태로 전환 안 함으로 설정
완성된 사이트맵 파일 다운로드
파일이 다 만들어지면 좌측 하단에 Download 탭이 나타납니다. 그 중 XML sitemap을 다운로드합니다.
티스토리에 등록
이제 각 검색 포털 사이트에 등록하기 전, 생성한 파일을 보관할 스토리지가 필요합니다.
티스토리 파일 기능을 이용해 사이트맵 파일을 서버에 올리고 얻은 링크 주소를 이용해 사이트맵을 등록하겠습니다.
링크 주소 복사
게시글에서 [마우스 우클릭] - [링크 주소 복사(E)] 를 통해 주소를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복사된 링크 주소는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https://corock.tistory.com/attachment/cfile25.uf@00000X000X000000000000.xml
다음은 이 주소를 가지고 대표적인 검색 포털 사이트 3곳에 각각 등록하는 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